21일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과 과제’ 세미나 개최
태양광·풍력·연료전지·원자력·금융권 관계자 등 참여

21일 서울 국회도서관에서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과 과제’를 주제로 열린 분산에너지포럼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정세영 기자
21일 서울 국회도서관에서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과 과제’를 주제로 열린 분산에너지포럼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정세영 기자

정부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의 하위 법령 마련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국내 에너지업계 관계자들이 한데 모여 정책적인 고려사항에 대해 제언했다. 태양광·풍력발전과 ESS, VPP의 결합, 연료전지 자가발전 인센티브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서울 국회도서관에서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과 과제’를 주제로 열린 분산에너지포럼에서 국내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원자력발전업계 관계자들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통과 이후 정책적인 고려사항을 놓고 토론을 진행했다.

김신우 신성이엔지 상무는 “태양광발전 기술은 지난 10년간 급성장해 최근 나온 태양광 모듈은 최소 500~600W급 출력을 낼뿐 아니라, 수상·영농형 태양광, BIPV까지 다양한 제품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며 “가장 큰 장점인 ‘설치의 용이성’과 태양광 모듈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개발로 분산에너지 자원으로서 태양광발전의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 상무는 “분산법이 제대로 시행되고 중앙집중형 전력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면 태양광발전에 ESS를 패키지로 연계하되, 태양광만으로 전체 운영 전력을 충당할 수 없으므로 VPP 기술도 반드시 필요하다”며 “분산법 외에 규제 완화 등을 통한 태양광 보급 활성화, ESS와 VPP를 통한 운영 효율화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원서 유니슨 대표는 분산법 통과를 계기로 풍력발전 신기술 개발과 사업화에 많은 기회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박 대표는 “이미 몇 개 풍력발전 시범단지에서 풍력 발전량 예측 시스템이 오차율 8% 이내의 성공률을 보여 향후 많은 풍력단지의 참여가 확대될 것”이라며 “특히 지역별 상황에 맞춰 인접한 풍력단지나 태양광발전을 묶어 하나의 발전소처럼 통합 운영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잉여전력의 무의미한 소진을 방지하기 위해 풍력연계형 ESS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풍력발전은 풍력 자원 분포상 지역별 불균형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며 “우선 서울 및 수도권의 풍력발전 부족 지자체에서 풍력펀드를 조성해 풍력발전 공급량이 많은 지자체와 협업해 주민참연형 대규모 풍력단지 개발사업을 활성화하고, 중장기적으론 탄소중립 기여도에 따른 지자체별 인센티브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석 에스퓨얼셀 대표는 “전력소비가 많은 도심지에서 전력수요에 안정적인 대응이 가능한 신재생 전원은 연료전지가 유일하다. 20년의 수명과 함께 배전계통 내에서 전력을 소비할 경우 전력계통에도 무리가 없다”며 “선진국들도 연료전지의 장점을 고도화, 국산화해 분산에너지원으로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대표는 분산전원으로서 연료전지의 강점을 제고하려면 “대규모 발전시설과 송전망 설치를 회피하는 데 따른 분산편익을 실질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내용을 하위법령에 마련하고, 높은 CAPEX로 인해 LCOE가 높은 연료전지의 경제성 확보 차원에서 미국의 자가발전 인센티브와 같은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한곤 혁신형 SMR 기술개발사업단 단장은 “분산법의 정의(500MW 이하 집단에너지설비 등)와 현재 개발 중인 혁신형 SMR(4기 모듈 기준 680MW) 사이 간극이 존재한다며 “향후 대통령령으로 분산에너지 규모를 정하는 시점에 혁신형 SMR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단장은 “혁신형 SMR은 4기 모듈로 구성되지만 1기 모듈은 수소생산으로 돌릴 수도 있다”며 “분산법 하위법령 제정과 규제기관 인허가 등이 원만히 진행돼 약 10년 뒤 혁신형 SMR이 탄생하면 특정 지역이나 도시에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과 함께 SMR이 들어가 출력변화를 조절해주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전기신문

 정세영 기자